By: Shinbum Lee (글쓴이 이신범)
What do you know about the process of ‘Waste Sorting’? Waste sorting is a process of categorically organizing disposed waste according to its material. This process is far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red to other alternatives, which require waste to either be burned or buried. Not only do these methods generate mammoth amounts of pollutants, but they also inefficiently occupy thousands of acres, which has and is bringing large backlash from citizens and businesses alike. Due to such issues, governments worldwide have worked to implement effective waste sorting systems.
One of the front-runners of effective sorting systems is South Korea. Through decades of legislative encouragement, education, and enforcem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ble to maintain an extremely organized, and well-followed system of waste sorting.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t a Glance 2015 report, Korea's waste recycling rate is about 83%. Of that, 59% is done by recycling and composting, and 24% by energy recycling. This figure is quite good, ranking 10th among OECD countries. But an inevitable question arises amidst the statistics; how is South Korea able to achieve this?
Korea’s system consists of hundreds of state-level contracts between the municipal government and private waste collection companies. Due to this, various companies are responsible for the collection of waste within different sections of the municipality and carry them to governmentally designated waste dumps. Such a process has allowed South Korea to create a system more efficient than governmentally managed structures.
Moreover, South Korea’s structure is mor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requires more civil participation than more nations. To illustrate Korea’s process, let us learn about its waste collection system.
There are two main types of garbage in Korea. What can be separated and what can't? The garbage that can be waste sorted is split into food waste and recycling waste. Food waste is disposed of in a colored plastic bag. These bags are intentionally produced in various sizes and volumes to prevent indiscriminate waste. After food waste is collected, it is mainly used as fertilizer or compost. In the process, biogas is also emitted, which is also used for power generation or as a source of heat energy. Since almost all edibles can be recycled as food waste, the recycling rate of food waste is high.
Recyclable waste includes paper, vinyl, glass, cans, scrap metal, and plastic, which are independently sorted by the people, collected by companies, and recycled through various filtering processes. Electronic products can also be recycled. Small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and vacuum cleaners can be disposed of in the collection box at the district office. The same goes for large items like televisions and refrigerators. Free collection services for large appliances are also provided by the state. Batteries, medicines, and old clothes can all be sorted out in the same way.
Garbage that does not belong in any of the above sections cannot be waste sorted, and is called ‘general waste’. Most general waste needs to be disposed of using colored plastic bags separately labeled as so. Additionally, large furniture 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tables, beds, and strollers are categorized as ‘bulk waste’ and hence need to again be separately labeled and then moved to their individual collection areas.
Obviously in the US, these systems are difficult both theoretically and realistically. In the United States, it is common to collect household waste into one large bag and put it in a large trash can. In the past, the U.S. government has tried to solve the recycling problem by using separate collection companies rather than raising the public's civic consciousness so that garbage can be carefully sorted and discarded. Though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is policy, it is not economically preferred.
In summary,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ith a similar economic level, Korea's separate discharge system is very well established and citizenship is very high. In addition, other countries have different levels of waste treatment depending on the region, but in Korea, separate discharge is well done overall regardless of region. Therefore, Korea's separate discharge can be said to be a best practice worldwide. As a member of Hiking Heroes, I hope that separate discharge will be commercialized so that many countries can enjoy the benefits both in terms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 terms of economy.
여러분은 ‘분리배출’에 대해 아는가? 분리배출이란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을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쓰레기의 처리를 용이하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쓰레기는 재활용하지 않으면 태우거나 땅에 묻어야 한다. 이러면 돈이 많이 든다. 분리배출은 재활용을 쉽게 하기 위해 시행하고, 많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미국에서는 가정에서 발생한 쓰레기을 하나의 큰 봉투에 모아 넣어서 커다란 쓰레기통에 넣고 끝내는 것이 보통이다. 미국 정부는 국민의 시민의식을 키워 쓰레기를 착실히 분류하여 버리도록 하기보다는 분리수거 업체를 활용해 재활용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정책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비경제적인 것은 사실이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매우 잘 구축 되어있다. 한국 정부는 법률을 통해 분리배출을 장려하고, 시민들은 이를 잘 따른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한국 분리배출의 성과에 대해 알아보자. Environment at a Glance 2015에 따르면 한국의 쓰레기 재활용률은 약 83%에 이른다. 그 중 59%는 재활용 및 퇴비화로써 행해지고, 24%는 에너지 재활용으로 행해진다. 이 수치는 OECD 국가 중 10위로 꽤나 우수한 편이다. 분리배출 정책을 통해 거금을 들이지 않고 쓰레기을 처리하기가 편리 해졌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한국 분리배출 시스템이 어떻게 되어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대한민국에서의 분리배출 시스템은 지방정부와 여러 민간 쓰레기 수거 업체의 계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동네마다 계약을 맺은 업체들이 쓰레기를 지방정부가 정한 매립시설으로 가져가며 처리한다는 말이다. 이러한 과정 덕분에 정부는 타나라와 비해 효율적인 시스탬을 갖출 수 있다.
쓰레기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분리배출이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
분리배출이 가능한 쓰레기에는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쓰레기 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색깔 비닐봉투에 담아 배출한다.이 봉투를 종량제 봉투라고 하는데, 이것은 부피와 크기로 종류가 정해져 있어 무분별한 쓰레기 배출을 막아준다. 음식물 쓰레기는 수거된 후 주로 비료나 퇴비로 쓰인다. 그 과정에서 바이오 가스가 배출되기도 하는데, 발전이나 열에너지원으로 쓰이기도 한다.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은 음식물 쓰레기로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률은 높은 편이다.
재활용 쓰레기는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쓰레기를 알맞은 수거함에 넣어서 분류한다. 재활용 쓰레기에는 종이, 비닐, 유리, 캔, 고철, 플라스틱 등이 있으며 업체에 의해 수거되어 여러 과정을 거쳐 재활용된다. 또한 전자제품도 재활용을 할 수 있는데, 스마트폰, 청소기 같은 작은 전자제품은 동사무소에 있는 수거함에 버리면 된다. TV와 냉장고 같은 큰 물건도 비슷하다. 대형 가전제품 무료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공짜로 대형 폐가전제품을 처리할 수 있다. 건전지, 약품, 헌옷 등도 마찬가지로 모두 분리배출을 할 수 있다.
분리배출을 할 수 없는 쓰레기는 다른 방식으로 버려야 한다. 우선 앞서 말한 음식물 쓰레기도 아닌, 재활용도 되지 않는 ‘일반 쓰레기' 는 종량제 봉투를 써서 폐기해야 된다. 또한 책상, 침대와 유모차 등, 크기가 매우 큰 가구와 전자제품은 ‘대형폐기물’으로 분류되기에, 근처 편의점 같은 곳에서 대형폐기물 수거 스티커를 받아 붙여야 한다.
요약해서, 경제 수준이 한국과 비슷한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한국의 분리배출 시스템은 매우 잘 구축 되어있고 시민의식도 매우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타 국가들은 지역에 따라 쓰레기 처리 수준이 천차만별인데 반해 한국은 지역과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분리배출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분리배출은 전세계적으로 모범 사례라 할 수 있겠다. Hiking Heroes의 단원으로서 분리배출이 상용화되어 많은 국가들이 환경 오염 방지의 측면에서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나 이익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コメント